트럼프의 관세정책은 "미국 우선주의(America First)"를 내세워 미국 산업을 보호하고 무역수지 개선, 협상력 강화를 목표로 추진된 강경한 무역정책입니다. 트럼프 행정부는 집권 초기부터 중국과의 무역전쟁을 시작했으며, 이후 전 세계를 대상으로 관세 정책을 확대 적용했습니다.
최근에는 모든 수입품에 10%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고, 철강·알루미늄, 자동차, 자동차 부품 등 주요 품목에는 25%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. 맥주캔 등 특정 품목에도 별도의 관세가 붙고 있습니다. 또한, 상대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만큼 미국도 동일하게 관세를 매기는 ‘상호관세(Mirror Tariff)’ 정책을 도입해 한국, 중국, EU, 일본 등 주요 교역국에 20~46%의 관세를 예고하거나 이미 시행하고 있습니다.
특히 중국에 대해서는 모든 품목에 20% 관세를 부과하고, 일부 품목에는 125%까지 관세를 상향 조정해 미국-중국 무역전쟁의 핵심 조치로 삼고 있습니다. 기존에 일부 국가에 적용하던 예외나 면제 조치도 대부분 폐지되었습니다.
이 정책의 주요 목적은 미국 제조업 보호, 일자리 창출, 무역적자 해소, 세수 확대, 그리고 중국 등 주요 교역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시정하려는 데 있습니다. 동시에 미국의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하고, 무역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는 의도도 담겨 있습니다.
경제적 영향에 대해선 다양한 평가가 있습니다. 미국 내 일부 제조업 분야에서는 단기적으로 일자리와 투자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지만, 장기적으로는 소비자물가 상승, 수출 감소, 글로벌 공급망 혼란 등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우려가 많습니다. 실제로 관세정책으로 인해 미국 실질 GDP가 0.1~1.3%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, 소비자물가도 1.9~10.4%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있습니다. 세계 경제 성장률도 0.8~1.3%p 하락할 수 있다는 국제기구의 경고가 있습니다. 반면, 미국 정부는 관세를 통해 2034년까지 약 1조 1천억 달러의 세수 증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.
한국을 비롯한 주요 교역국들은 자동차, 철강 등 주력 수출 품목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어, 수출 시장 다변화와 산업 경쟁력 강화 등 다양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습니다.
요약하면,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미국 산업 보호와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 단기적으로는 미국 일부 산업에 긍정적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, 장기적으로는 미국과 세계 경제 모두에 부정적인 파급효과가 크다는 평가가 우세합니다. 한국 등 주요 교역국들은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.
'주식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나스닥 추가 하락 가능성 (0) | 2025.04.30 |
---|---|
영웅문 시초가 단타 검색식 (0) | 2025.04.30 |
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 방법 (0) | 2025.04.30 |
커버드콜(콜옵션 매도) 전략이란 (1) | 2025.04.30 |
고배당 수익과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하는 미국 및 글로벌 ETF (0) | 2025.04.30 |